CF를 사용하면서 가장 처음 겪은 이슈는 기존 $_SERVER["REMOTE_ADDR"] 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IP가 아니라 CF 리버스프록시 주소가 남는다는 점이였다.코드를 변경해 X_Forwarded_For 에서 직접 꺼내는 방법도 있었지만, 기존 코드에 굳이 손을 대고 싶지 않아 구글링을 해보았다. 이미 누군가 좋은 솔루션을 제시했다. 잘 동작하며 기존까지 잘 사용했다. 방금 전 까지...서비스가 국내 사용자 한정 제공이라 그 동안 문제가 생길리가 없었는데, 최근 큰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알았다.위 정규식을 보면 알겠지만, IPv4 만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구글링을 통해 IPv6인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 검색해 보았으나... 딱히 알맞은 아티클을 찾진 못했다.어차피 정규식인데 직접 입력하면..
앞서서 포스트한 Swift 에서의 설계는 흡사하다. 차이점은 플랫폼이 Android 라는것, 사용된 언어가 C#이라는 것, Alamofire 대신 OkHttp3를 사용했다는 것 뿐이다. 자세한 설명은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Android.App; using Android.Content; using Android.OS; using Android.Runtime; using Android.Views; using Android.Widget; using Android.Webkit; using LayoutParams = And..
개인적으로 vultr.com 이라는 VPS업체에서 5달러짜리 2대 및 40달러짜리 1대의 VPS를 사용중이고, 그 밖에 ArchLinuxARM 이 올려진 싱글보드 2대와 mac mini server를 사용중이다. 이 서버들의 ipv4 A레코드와 ipv6 AAAA레코드, CNAME, MX레코드 등등을 관리하려다보니 기존에 사용중이던 dnszi.com 으로는 AAAA레코드 미지원등 몇가지 부분에서 내가 원하는 방향과 맞지 않아 DNS 서비스만 보고 CF(Cloudflare)를 사용하기로 결심하고 넘어갔다. 그런데 사용해보니 리버스 프록시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득이 생각보다 좋은 것 같았다. 일단 글로벌 CDN이 된다는 것과 캐싱. SSL같은 경우는 기존의 도메인에 모두 Letsencrypt 를 통한 TLSv..
- Total
- 104,101
- Today
- 0
- Yesterday
- 7
- 산사자
- Raspberry Pi
- OS X
- Mountain Lion
- Mavericks
- WAF
- Revers DNS
- CloudFlare
- Diablo III
- OS X 10.8
- restapi
- 마비노기
- Crack
- Time Capsule
- macOS Server
- 디아블로 3
- airserver
- server
- 서울 코믹월드
- DDoS
- Xcode
- 서코
- 리플렉션
- reflection
- 에어서버
- 라즈베리 파이
- CF
- rDNS
- OS X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