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세미티 베타를 사용하면서 OS X Server 4 Developer Preview를 애플 디벨로퍼센터에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다가 10.10 정식버전이 나올 때 앱스토어에서 OS X Server 정식버전으로 설치했는데, 문제는 이 때 부터 시스템 환경설정의 알림 패널에서 Server 앱이 2번 나오는 것. 예전엔 'iCloud 사진' 이라던가 몇몇 시스템 서비스들이 2개씩 중복으로 나왔었는데, 대부분 사라졌고... 지금의 문제는 저 오에스텐 서버!! ㅠㅠ 딱히 구글링해서 찾아봐도 나오는 터미널명령어는 이 상황에서 아무 도움도 안되고 ㅠㅠ... 처음에는 애플 고객지원센터(080-333-4000) 를 이용해서 해결해보려 했지만, 1시간 넘게 어드바이저와 계속 NVRam도 초기화 해보고, SMC 리셋도 해보..
'/Library/Server/Logs' 를 제외항목으로 등록해 보자.우측의 예상 크기는 9.7MB짜리 폴더이지만 실제 백업할 땐 용량을 더 많이 필요로 하는듯.중요한건 저 경로엔 각종 데몬과 서비스 로그가 실시간으로 쌓이기 때문에...타임캡슐의 구조상 로그가 누적될 수록 백업 사이즈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그리고 경우에 따라 '/Library/Server/Caching/Data' 도 함께 추가하면 좋을 것 같다. 설정을 저장하고 백업을 시작해 보니...평소 매 시간 자동백업시 3.5GB씩 나오던 상황에서 580MB 정도로 줄었다.
사용중이전 타임캡슐의 하드디스크가 1TB 짜리라서...맥북에어, 남편님 맥프로, 나님 맥미니를 모두 백업하려다보니...남은공간이 50GB정도로 용량난에 허덕허덕 하던 상황이였기에...예전에 사놓고 딱히 쓸데가 없어서 먼지만 먹고있던웨스턴디지털 캐비어 그린 2TB하드로 교체를 해보았다. 일단 타임캡슐 설명서에 적혀있는 전원 끄기 방법에 따라...전원플러그를 뽑는ㄷ... (정말로 전원끄는 방법이 그리 설명되어 있다.) 타임캡슐을 뒤집어 놓는다. (바닥 고무가 상당히 더러워 보인다면 기분탓.)먼저 바닥의 고무패드를 떼어야하는데, 공업용 양면테이프로 붙어있다.(의외로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그냥 무턱대고 힘으로 뜯으려고 하면 쭈~욱 찢어지는 참사가 일어날 수도...) 집에 있는 일반 가정용 헤어드라이어로 적당히 ..
점심을 맛나게 냠냠 먹고 왔더니...트위터에서... 팔롱님들의 트윗을 보고 알게된...Mavericks GM SEED 13A598 배포!! 올렸다.3대를 동시에 올리려니... 고생좀 했다.무튼 설치하고나면... 어도비 CC제품이 호환 안된다는 저런 화면을 만나게 되는데... 그냥 무시하고... 실행해보면... 잘된다.오히려 DP8때 단축키 먹통되던 버그마저 고쳐져있다.이건 어도비에서 업데이트를 띄워줄 거라 생각했는데... 애플이 선수쳐서 수정해버렸다. IDC에 입고해놓은 오에스텐서버도 OS X Mavericks 13A598로 올리고OS X Server DP9 13S411도 설치했다. 서버쪽은 일단 큰 변동사항은 없어보인다. 결론. 업데이트 할 수 있다면, 지금 당장 GM을 설치해라!
Mavericks 의 새로운 기능 중 가장 관심있는게 OpenGL4.1 과 메모리 압축이였는데...여차저차해서 딱히 의도적으로 메모리 사용량 수시로 보면서 테스트 해본 적은 없었다가...여로모로 Mountain Lion 때 보다 메모리 관리가 훨씬 괜찮아졌다는게 체감으로도 잘 느껴지는 데다가...몇일 전 공개된 DP6의 안정성도 한몫하고 해서...뭐랄까... 조금 늦은 감이 있긴 하지만... 이제와서라도... 한번 간단히 소개나 하고자 작성하는 포스팅. 일단은...메모리가 매우 후달리는데... 심지어 램업도 못하는 2010년 2GB의 메모리를 가진 13인치 맥북에어로 테스팅을 하였다. :D 여기서 중요한건... 10.8.4를 사용할 때는... 딱히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메모리가 부족하여 스왑메모리가 마..
터미널에서 $ diskutil list 명령을 실행한다. 현재 사용가능한 스토리지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보통 맥에 내장된 디스크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인덴디피어는 disk0s1이 EFI파티션일 것 이다. 만약 디스크의 다른 파티션이 마운트되어있다면 diskutil unmount ~ 또는 sudo umount ~ 명령을 통해 언마운트 해야한다. (아래에서 실행하는 명령들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완료 후 파티션을 자동으로 마운트 해버리기 때문에, 한 작업을 실행 하고 나서 매번 수동으로 언마운트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 작업을 시작하기 전 먼저 dd명령어 등으로 EFI파티션을 이미지로 백업하기 바란다. (필수) * 굳이 터미널 작업으로 고쳐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Recovery HD로 부팅(..
기존에는 smb를 통해서 집안에 윈도우 PC와 맥미니, 맥북프로, 맥북에어, 흰둥이 맥북을 연결해서 쓰고있었는데... 이게 문제가... 집 밖에서 WAN을 통해서는 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서 고민하던중에... 2TB와 하드디스크 독을 따로 구매해서 타임캡슐에 USB포트를 통해 확장해보았다. 먼저 오에스텐에서 HFS+ 저널링으로 포맷후에 그냥 연결만 했더니 바로 인식! + ㅂ+)! 타임캡슐은 smb와 AFP를 모두 지원하는 훌륭한 장비이기 때문에, 윈도든 맥이든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스샷을 보면 이미 알겠지만, 외부에서 연결도 가능! 집 밖에서 급하게 필요할 때 바로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다. 물론 어느정도의 회선대역폭이 필요하겠지만... 한가지 화실한건 pptp vpn을 통해 smb로 연..
요즘들어 가상머신을 두세개씩 띄워놓고 뭔가 하다보니... 8기가 메모리가 자주 부족해지는데...더군다나 가상머신이 2기가씩 메모리 잡고있다가 끄게되면...비활성메모리로 넘어가버리다보니... 새로운 앱을 사용하려 할 때 메모리가 부족해져서자꾸 스왑공간이 늘어나게 된다... 일단은 비활성메모리를 다시 여유공간으로 반환받는 방법이 있긴 한데...터미널에서 $ purge 를 실행해주면 된다. 명령을 실행하고 몇초 정도 기다리면... 비활성 영역이 줄어들면서 여유공간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다만 아쉬운점은 이미 늘어난 스왑영역은 줄어들지 않는다는 사실... ㅠㅠ 추가. OS X 10.9 Mvericks 에서는 에러... (스샷의 버전은 DP2)
- Total
- 104,101
- Today
- 0
- Yesterday
- 7
- 서코
- rDNS
- Revers DNS
- 산사자
- WAF
- Xcode
- CF
- Crack
- 에어서버
- Time Capsule
- 서울 코믹월드
- 마비노기
- OS X
- OS X Server
- CloudFlare
- airserver
- 리플렉션
- DDoS
- Mountain Lion
- macOS Server
- 라즈베리 파이
- OS X 10.8
- 디아블로 3
- Mavericks
- server
- reflection
- Diablo III
- restapi
- Raspberry 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