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를 사용하면서 가장 처음 겪은 이슈는 기존 $_SERVER["REMOTE_ADDR"] 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IP가 아니라 CF 리버스프록시 주소가 남는다는 점이였다.코드를 변경해 X_Forwarded_For 에서 직접 꺼내는 방법도 있었지만, 기존 코드에 굳이 손을 대고 싶지 않아 구글링을 해보았다. 이미 누군가 좋은 솔루션을 제시했다. 잘 동작하며 기존까지 잘 사용했다. 방금 전 까지...서비스가 국내 사용자 한정 제공이라 그 동안 문제가 생길리가 없었는데, 최근 큰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알았다.위 정규식을 보면 알겠지만, IPv4 만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구글링을 통해 IPv6인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 검색해 보았으나... 딱히 알맞은 아티클을 찾진 못했다.어차피 정규식인데 직접 입력하면..
앞서서 포스트한 Swift 에서의 설계는 흡사하다. 차이점은 플랫폼이 Android 라는것, 사용된 언어가 C#이라는 것, Alamofire 대신 OkHttp3를 사용했다는 것 뿐이다. 자세한 설명은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Android.App; using Android.Content; using Android.OS; using Android.Runtime; using Android.Views; using Android.Widget; using Android.Webkit; using LayoutParams = And..
개인적으로 vultr.com 이라는 VPS업체에서 5달러짜리 2대 및 40달러짜리 1대의 VPS를 사용중이고, 그 밖에 ArchLinuxARM 이 올려진 싱글보드 2대와 mac mini server를 사용중이다. 이 서버들의 ipv4 A레코드와 ipv6 AAAA레코드, CNAME, MX레코드 등등을 관리하려다보니 기존에 사용중이던 dnszi.com 으로는 AAAA레코드 미지원등 몇가지 부분에서 내가 원하는 방향과 맞지 않아 DNS 서비스만 보고 CF(Cloudflare)를 사용하기로 결심하고 넘어갔다. 그런데 사용해보니 리버스 프록시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득이 생각보다 좋은 것 같았다. 일단 글로벌 CDN이 된다는 것과 캐싱. SSL같은 경우는 기존의 도메인에 모두 Letsencrypt 를 통한 TLSv..
회사에서 메일서버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아 물론 기존에 회사이름으로 대표하는 DNS는 이미 메일서버가 연결되어 있었고,사내 서비스이름의 메일서버가 추가로 필요했다. 흔히 쓰는 다음이나 네이버의 MobileWorks 같은 서비스들이 있지만,필요에 의해 자체적으로 구축된 메일 서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받아서사내에서 빌드 및 프로젝트 버전관리 레포지토리로 쓰고 있는 macOS Server 를 사용해 메일 서버를 설정해 보기로 하였다. 사내에 또 다른 Debian 서버가 있긴 하지만, 리눅스에서 수발신이 완벽하게 동작하는 메일 서버를 셋업하려면 postfix부터 시작해서 TLS인증서를 설정까지 짧은 토막시간에 후다닥 셋업해야 하는 상황이였기에 macOS Server를 선택했다. 서버 앱을 실행한다. 이 작업은..
요세미티 베타를 사용하면서 OS X Server 4 Developer Preview를 애플 디벨로퍼센터에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다가 10.10 정식버전이 나올 때 앱스토어에서 OS X Server 정식버전으로 설치했는데, 문제는 이 때 부터 시스템 환경설정의 알림 패널에서 Server 앱이 2번 나오는 것. 예전엔 'iCloud 사진' 이라던가 몇몇 시스템 서비스들이 2개씩 중복으로 나왔었는데, 대부분 사라졌고... 지금의 문제는 저 오에스텐 서버!! ㅠㅠ 딱히 구글링해서 찾아봐도 나오는 터미널명령어는 이 상황에서 아무 도움도 안되고 ㅠㅠ... 처음에는 애플 고객지원센터(080-333-4000) 를 이용해서 해결해보려 했지만, 1시간 넘게 어드바이저와 계속 NVRam도 초기화 해보고, SMC 리셋도 해보..
'/Library/Server/Logs' 를 제외항목으로 등록해 보자.우측의 예상 크기는 9.7MB짜리 폴더이지만 실제 백업할 땐 용량을 더 많이 필요로 하는듯.중요한건 저 경로엔 각종 데몬과 서비스 로그가 실시간으로 쌓이기 때문에...타임캡슐의 구조상 로그가 누적될 수록 백업 사이즈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그리고 경우에 따라 '/Library/Server/Caching/Data' 도 함께 추가하면 좋을 것 같다. 설정을 저장하고 백업을 시작해 보니...평소 매 시간 자동백업시 3.5GB씩 나오던 상황에서 580MB 정도로 줄었다.
사용중이전 타임캡슐의 하드디스크가 1TB 짜리라서...맥북에어, 남편님 맥프로, 나님 맥미니를 모두 백업하려다보니...남은공간이 50GB정도로 용량난에 허덕허덕 하던 상황이였기에...예전에 사놓고 딱히 쓸데가 없어서 먼지만 먹고있던웨스턴디지털 캐비어 그린 2TB하드로 교체를 해보았다. 일단 타임캡슐 설명서에 적혀있는 전원 끄기 방법에 따라...전원플러그를 뽑는ㄷ... (정말로 전원끄는 방법이 그리 설명되어 있다.) 타임캡슐을 뒤집어 놓는다. (바닥 고무가 상당히 더러워 보인다면 기분탓.)먼저 바닥의 고무패드를 떼어야하는데, 공업용 양면테이프로 붙어있다.(의외로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그냥 무턱대고 힘으로 뜯으려고 하면 쭈~욱 찢어지는 참사가 일어날 수도...) 집에 있는 일반 가정용 헤어드라이어로 적당히 ..
OS X 10.7 Lion Server 때 부터였나?서버에서 MySQL이 빠져서 별도로 설치해줬어야하는데...문제는 php.ini에 소켓 경로가 지정이 안되어 있어서 수동으로 지정해주어야한다.(크게 어려운점은 없다)MySQL은 오라클 오피셜사이트에서 맥용 dmg를 내려받아 설치하면 된다. $ sudo nano /library/server/web/config/php/php.ini터미널에서 위 명령을 실행하여 설정파일을 열고,pdo_mysql.default_socket = /tmp/mysql.sockmysql.default_socket = /tmp/mysql.sockmysqli.default_socket = /tmp/mysql.sock위 3줄을 추가하고 저장한 후,$ sudo apachectl restart..
- Total
- 104,101
- Today
- 0
- Yesterday
- 7
- server
- OS X Server
- 서울 코믹월드
- rDNS
- 에어서버
- Mountain Lion
- DDoS
- WAF
- 라즈베리 파이
- 마비노기
- 산사자
- CF
- Diablo III
- restapi
- 리플렉션
- OS X 10.8
- CloudFlare
- 디아블로 3
- OS X
- Crack
- Time Capsule
- 서코
- Xcode
- Revers DNS
- reflection
- Raspberry Pi
- Mavericks
- airserver
- macOS Server